사는 모습(722)
-
간디니 외2인,『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어린이들의수많은언어 카테고리 인문 > 언어학 > 언어학일반 > 언어학이론 지은이 REGGIO CHILDREN S.R.L. (다음세대, 2002년) 상세보기 유아교과교육론 수업 시간에 교수님께서 여러 프로그램을 소개해 주던 중 들었던 Reggio Emilia. Reggio Emilia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이탈리아 내의 어떤 지역의 이름이다. 하지만 이 Reggio Emilia라고 부르는 이 시스템에 관심이 생겨서 책을 들춰보게 되었다. Reggio Emilia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어느 마을에서 마을 사람들이 어린이를 위한 유치원을 세우기로 결심하면서 시작된다. Reggio Emilia Program의 창시자인 로리스 말라구찌(Loris Malaguzzi)는 이 소식을 듣고 찾아간다. 마을 사람들은 ..
2011.04.28 -
바바라 에런라이크, 『긍정의 배신』
긍정의배신긍정적사고는어떻게우리의발등을찍는가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사회학이론 > 사회심리/여론 지은이 바버라 에런라이크 (부키, 2011년) 상세보기 이번 주 독서토론 선정도서. 최근에는 늘 신간만 선정하는 터라 도서관에도 없는 책은 살 수 밖에 없게 된다. 게다가 안 읽으면 벌금까지 후덜덜 하다... 요새 시험이니 과제니 바빠서 남길 시간도 없었는데 저번 주 책은 라는 책이었다. 어떻게 공정한 사회를 구현할 것인가? 공정을 물어야 하는 부분과 어느 정도를 물어야 할 것인가? 같은 주제가 다뤄지는 책이었다. 이 책 역시 읽다보면 이전에 읽었던 와 같은 구조로 많은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작가 모두 미국의 저널리스트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그 사례들이 대부분 이 책이 ..
2011.04.24 -
Maria Montessori, 『Il segreto dell'infanzia(어린이의 비밀)』
어린이의비밀 카테고리 인문 > 인문고전문고 > 인문고전문고기타 지은이 몬테소리 (지만지고전천줄, 2008년) 상세보기 수업 관련하여 자발적으로 읽게 되었다. 조봉애 교수님을 통하여 지만지고전천줄이라는 유익한 출판사를 알게 되었는데 도서관의 책을 살피던 중 몬테소리가 쓴 이 책이 있는 것을 보았다. 일상적 암기의 공부는 나에게는 부적합한 방법이기에 시간은 좀 더 걸리지만 관련한 요약되지 않은 원문을 읽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는데, 마침 딱 적절한 책을 찾게 된 셈이다. Maria Montessori. 너무도 유명한 인물이다. 여성으로서도 너무나 선구적인 인물이고, 그야말로 알파걸 중의 알파걸이 아닐까 싶다. 19~20C의 아이는 어른들의 소유물의 개념이었고, 그들의 자유의지는 어른들에 의해 박탈되었으며 자유..
2011.04.15 -
카트린 마틀랭, 『라깡과 아동정신분석 : 얼음 속에 갇힌 어릿광대』
라깡과아동정신분석얼음속에갇힌어릿광대 카테고리 인문 > 심리학 > 심리이론 > 정신분석학 지은이 카트린 마틀랭 (아난케, 2010년) 상세보기 아... 정리해둔 거 친구 집에 놓고 왔다. 유아교육론 수업 시간에 아동발달에 대한 분석이론들을 비교하는 시간을 가졌다. 1. 정신분석, 2. 성숙주의, 3. 행동주의, 4. 인지발달, 5. 동물행동학, 6. 생태학 이렇게 있었는데, 나는 정신분석을 택했다. 1학년 수업인데 학구열 넘치는 아이들이 간혹 있다는 게 신기했다. '나 1학년 때 뭐 했었지...' 정신분석은 이전에 프로이트로 접해보았고, '정신분석입문'이라던가 '꿈의 해석'을 대학교 1학년 때 읽어보았던 거 같다. 그래서 선택했는데, 토론을 준비하는 과정에 정신분석의 이론가들은 꽤 많다는 것을 알았고, 책..
2011.04.10 -
서울 국제유아교육 전시회
2011년 4월 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코엑스 Hall A, B에서 국제 유아교육 전시회가 열렸다. 어마어마한 엄마, 아빠, 아이들의 인파... 게다가 유아교육 관련사업 업체가 이렇게 많을 줄이야. 둘러보면서 느낀 점은 유아교육에 관심이 있는 부모가 많다는 것이고, 교구 사업 잘 하면 돈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부는 유아교육보다는 팬시류에 가까워 보이는 듯한, 주관적인 견해지만 교육에 효과적이지 못한 교구도 보인다는 것이었다. 추상적인 일련의 자석조각으로 유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좋다고 생각. 하지만 색이 조화스럽지 못한 느낌이다. 아이들은 역시나 활동적인 것을 좋아한다. 저런 단순한 구조물에서도 땀 흘려가며 논다. 구조로부터 그 기능이 확연히 드러나는 구조물. 직접 다루어 볼 수 있는..
2011.04.10 -
Reggio Emilia
The Reggio Emilia Approach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focused on preschool and primary education. It was started by Loris Malaguzzi and the parents of the villages around Reggio Emilia in Italy after World War II. The destruction from the war, parents believed, necessitated a new, quick approach to teaching their children. They felt that it is in the early years of development that children fo..
201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