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니 외2인,『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2011. 4. 28. 23:27


어린이들의수많은언어
카테고리 인문 > 언어학 > 언어학일반 > 언어학이론
지은이 REGGIO CHILDREN S.R.L. (다음세대, 2002년)
상세보기

유아교과교육론 수업 시간에 교수님께서 여러 프로그램을 소개해 주던 중 들었던 Reggio Emilia.

Reggio Emilia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이탈리아 내의 어떤 지역의 이름이다.

하지만 이 Reggio Emilia라고 부르는 이 시스템에 관심이 생겨서 책을 들춰보게 되었다.

Reggio Emilia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어느 마을에서 마을 사람들이 어린이를 위한 유치원을 세우기로 결심하면서 시작된다.

Reggio Emilia Program의 창시자인 로리스 말라구찌(Loris Malaguzzi)는 이 소식을 듣고 찾아간다. 마을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돈을 모아 어린이의 교육에 힘쓰기로 결심을 한다.

모든 마을 사람들은 어린이들의 프로젝트에 협조하는 식이다. 유치원 건물은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 공간 하나라도 의미가 없는 곳이 없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이 능동적으로 영역을 계발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교사는 프로그램의 주제만을 잡아줄 뿐이다. 거기서 교사가 의도치 않은 수많은 것들을 배우는 역할은 온전히 어린이들의 것이다.

Reggio Emilia의 환경은 고요하다. 그리고 역동적인 기관이고 외부의 방해를 처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잘 짜여진 공간에서 어린이의 영역별 발달은 극대화 된다. 어찌보면 제한을 두어 아이들의 발달을 극대화 시키는 환경이라고 할 수도 있다.

가장 다채롭고 무궁무진한 환경은 자연이겠지만 그 곳에는 영역별 발달을 이끌어줄 교사도 없고 아무런 제시된 틀이 없다. 아이들의 유전학적 요소에 의해서 발달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하지만 Reggio Emilia는 아이들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특별한 주제영역의 발달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장점이 있다고 생각을 한다.

그리고 혼합연령으로 반이 구성이 되는데 사회성 발달을 위한 중앙 공용공간인 피아자(piazza)가 있다. 그리고 스튜디오 겸 실험실인 아뜰리에(Atelier)가 있는데 이 곳에서 아이들의 창발적 언어가 표현이 되고 실험이 되는 공간이다.

Reggio Emilia Program은 기록을 중요시한다. 아이들의 모든 결과물, 행동들을 기록하는 장치가 많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전시회에 활용이 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부모의 공동참여가 요구된다. 시작할 때부터 마을의 시민(학부모)들에 의해서 시작된 것이므로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Reggio Emilia의 운영진에는 페지고지스타(Pedagogista), 아뜰리에리스타(Atelierista), 그리고 교사가 있다. 쉽게 말헤 페다고지스타는 교육조정자이고, 아뜰리에리스타는 아이들의 창발적 언어를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미술 자원 교사이다.

이 책을 보면서 아이들이 그렸다는 그림을 보면 아이들이 그렸나 싶을 정도로 예술적이고, 떄로는 상징적이다.
그래서 이 책의 부제는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이다.

최근에 학부모들의 기존의 틀을 벗어나 홈스쿨링을 직접 공동으로 운영하기도 하는데 그런 면에서 Reggio Emilia는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Reggio Emilia에서는 공동체의 최대한의 협력이 요구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제한적으로도 가능하지 않을까싶다.


다이아나 유치원의 5세 어린이들이 선언한 '어린이의 권리'

어린이는 친구를 가질 권리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어린이들은 잘 자라지 않는다.
어린이는 평화롭게 살 권리가 있다.
평화롭게 산다는 것은 우리 모두 함께 살고, 우리가 관심 있는 것에 집중하고, 친구를 사귀고, 날아다니는 것에 대해 생각하고, 꿈꿀 수 잇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어린이가 잘 모르면 실수할 권리가 있다. 문제와 자신이 한 실수를 보면 알게 되니까 괜찮다.


"성숙과 발달과 이해에 필요한 시간, 또 전체적이고 느리고 독특하고 맑고 계속 변하는 어린이의 능력이 나타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존중해주어야 한다. 이것이 문화적, 생리학적 지혜의 측정 도구이다."
- Mallaguzzi



교사의 토론 중에서,

"우리는 항상 두 개의 호주머니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나는 만족을 위한 것이고 하나는 불만족을 위한 것이다."
- Mallaguzzi